성경속 히브리어, 아람어, 라틴어
성경에서 사용된 주요 언어는 히브리어, 아람어, 라틴어이며, 각 언어는 특정한 용도와 역사적 배경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1. 히브리어 (Hebrew)
히브리어는 **구약성경(히브리어 성경, Tanakh)**의 대부분을 기록하는 데 사용된 언어입니다.
주요 용어 및 표현
• 야훼 (יהוה, YHWH) –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
• 엘로힘 (אֱלֹהִים, Elohim) – 하나님을 의미하는 일반적 용어
• 아도나이 (אֲדֹנָי, Adonai) – “주님”이라는 뜻으로 YHWH를 대신해 사용됨
• 메시아 (מָשִׁיחַ, Mashiach) – 기름부음 받은 자 (그리스도)
• 토라 (תּוֹרָה, Torah) – 율법, 모세오경
• 에메트 (אֱמֶת, Emet) – 진리
• 샬롬 (שָׁלוֹם, Shalom) – 평화, 안녕
⸻
2. 아람어 (Aramaic)
아람어는 바벨론 포로기 이후 유대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한 언어이며, 구약 일부와 신약에서 예수님의 말씀 중 일부가 기록된 언어입니다.
구약에서 아람어가 사용된 부분
• 다니엘서 2:4b–7:28
• 에스라서 4:8–6:18, 7:12–26
• 예레미야 10:11 (한 절만 아람어)
신약에서 예수님이 사용하신 아람어 표현
• 아바 (אבא, Abba) – 아버지 (막 14:36)
• 마라나타 (מָרָנָא תָא, Maranatha) – “주여 오시옵소서” (고전 16:22)
•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אֵלִי אֵלִי לָמָה שְׁבַקְתָּנִי, Eli Eli Lama Sabachthani) –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마 27:46)
• 달리다 굼 (טַלִיתָא קוּמִי, Talitha Koumi) – “소녀야, 일어나라” (막 5:41)
⸻
3. 라틴어 (Latin)
라틴어는 신약 시대에 로마 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경이 기록될 당시 주로 사용된 언어는 헬라어(그리스어)였지만, 라틴어 단어가 일부 등장합니다.
신약에서 라틴어 기원 용어
• 예수님의 십자가 명패 (INRI)
•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예수 나사렛 왕 유대인의 왕, 요 19:19)
• 군대 관련 용어
• 센추리온 (Centurion) – 로마 백부장
• 프라이토리움 (Praetorium) – 총독 관저 (막 15:16)
• 데나리온 (Denarius) – 로마의 화폐 단위 (마 22:19)
• 레기온 (Legion) – 군대 단위, 예수님께서 귀신 들린 자에게 사용 (막 5:9)
⸻
정리
• 히브리어: 구약의 주요 언어, 신적 개념과 율법 관련 용어
• 아람어: 포로기 이후 사용, 구약 일부와 예수님의 발언에 등장
• 라틴어: 신약 시대 로마의 영향으로 일부 용어 사용
이 구분을 통해 성경의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