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령이란 무엇인가?

by Noah's Grandpapa 2025. 3. 14.
반응형

성령은 무엇인가?  하나님은 영이시다(4:24). 성령은 신약성경에선 헬라어로 푸뉴마이다. 구약성경에서는 ‘‘루아흐라는 히브리어 단어를 사용하는데, 개념은 바람, 호흡, 의미한다.

 

1 바람인 성령: 바람이라는 이미지는 힘과 운동과 통제불능이라는 의미 담는다. 하나님을 영이라고 말하는 것은 만군의 넘쳐나는 활력을 떠올리게 한다. 홍해를 가르는 강력한 바람(14:21) 통해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신 하나님의 힘과 능력을 기억하게 해준다. 여기서 루아흐 개념은 하나님의 능력과 더불어 하나님의 구속적 목적도 알려준다.

 

2 호흡인 성령:영의 개념은 생명과 관련된다.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할 그에게 생명의 호흡을 불어 넣었다. 결과 아담은 생명체가 되었다(2:7). 하나님을 호흡인 영으로 그리는 모델은 하나님이 생명을 주시는 분이라는 통찰 담는다. 루아흐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과 연결된다.

 

3 은사인 성령: 은사란 개인이 하나님의 영으로 충만되는 것을 가리킨다. 은사로 말미암아 사람은 다른 방식으로는 수행할 없었던 사명을 감당할 있다. 지혜의 은사는 보통 성령을 받은 결과라고 설명된다. 예언자의 소명도 성령을 통해 부여 된다. 이때 성령은 예언자의 메시지, 보통 주님의 말씀(다바르)이라고 불리는 메시지에 권위를 부여 준다.

성령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성령사역은 일반적으로 계시, 구원 그리고 기독교인의 삶이라는 가지 영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1 계시의 조명: 인간이 하나님을 알게 되는 일에서 성령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성령의 일은 사람들을 하나님의 진리로 인도하는 이다. 성령 없이는 결코 진리를 깨달을 없다. ‘성서의 영감교리는 기독교 전통에서 폭넓게 인정되어 왔다. 교리는 성서, 특히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것이다”(딤후3:16)라고 말하는 본문에 근거한다.

 

2 구원의 전유: 성령의 기능 가운데서 많은 것이 구원론과 직접적인 관계 있다. 예를들면 성화(sanctification), 인간이 하나님을 닮게 하는 일과 신성화(divinization)에서 성령이 맡는 역할이 그것이다. 교회의 구원 개념은 존재론적이기보다는 관계적인 특성이 두드러진다. 그럼에도 성령의 역할에 대해 인정한다.

 

3 기독교인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다: 성령은 기독교인의 개인적인 삶이나 공동체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많은 사상가들이 인정한다.  

 

성령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했다면 다음 가지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첫째, 개인과 공동체의 예배와 헌신을 통해 하나님을 참된 분으로 드러내는 일이다. 기도와 영성과 예배에서 성령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많은 사상가들이 강조해 왔다. 둘째는 신자들이 도덕적인 면에서 탁월한 기독교적 삶을 살도록 이끌어 주는 이다. 신자들은 율법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 그들 안에서 성령이 계셔서 율법이 하는 것보다 훨씬 완벽하게 모든 것을 가르쳐 주시고, 훨씬 힘있게 그것에 복종하도록 힘을 주시기 때문이다. 성령은 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이시며 그래서 율법이 명령한 , 하지만 율법으로는 이룰 없는 것을 따라 살게 하신다.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핵심적인 사역은 성령께서 역사에 나타나신 예수, 부활하시고 통치하시는 구주, 믿음의 주이신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교회와 그리스도인 안에 인격적으로 임재하심을 알리시는 사역이다. 성령이 이렇게 하시는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알려지고, 사랑받고, 신뢰받고, 존경받고 찬양을 받으시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이야말로 성령의 일관된 목표이자 목적이며 성부 하나님의 목적이자 목표이기도 하다. 성령의 임재 사역으로 말미암아 성도들은 그리스도와 인격적인 교재를 나누며, 성품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인격이 변화되고 하나님의 양자로서의 확신을 갖게 된다. 결국 자신감이 넘치는 삶을 살게 된다. 성령께서 그리스도를 영화롭게 하시려고 우리 가운데 거하시며 분의 변함없는 임무는 우리에게 예수님의 임재를 전달하는 이며, 예수님을 온전히 알려 주어서 예수님이 우리의 모든 것이라는 신뢰를 가지게 만드는 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