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沈禮)와 세례(洗禮)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침례'대신 '세례'라는 용어를 씁니다. 기독교와 관련이 없더라도 '달걀 세례','선물세례','꽃다발 세례'등 어떤 사건이나 현상으로 받는 영향 또는 타격을 표현할 때도 세례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꼭 올바른 표현은 아닙니다.
한국에서'세례'로번역된 헬라어(밥티스마)는 '물에 잠기다,물을 적시다'는 의미입니다. 영어로도 이 단어를 음역해'baptism(뱁티즘)'이라고 합니다. 원뜻을 고려해서 번역한 다면 침례가 성경대로의 올바른 표현입니다.
침례의 의미
침례는,죄를 물속에 장례 지내고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는 의식입니다. 죽은 사람을 장례 지낼 때 관에 흙을 두어 삽 뿌리는 것으로 장례가 이뤄지지 않듯이 죄를 장례 지내는 의식도 몇 방울의 물을 뿌리는 것으로는 장례가 이뤄지지 않습니다. 반드시 온몸을 물속에 담그거나.온몸을 물로 적셔야 죄의 몸에 대한 온전한 장례가 이뤄집니다. 기독교 관련 영화나 성화에 나오는 장면처럼,예수님께서도 요단 강에 몸을 담그시고 요한에게 침례를 받으셨습니다. 초대교회 침례식 장면에서도 물속에서 예식을 행하는 장면이 자주 나옵니다. '침례'라는 단어가 알려주듯 침례는 물에 잠기는 침수(沈水)의식이기 때문입니다. 강이나 바다 등지가 아닌 곳에서는 온몸을 물로 적셔서 침례 예식을 행했습니다.
세례 의식의 시작
초대교회 때 ,복음이 이스라엘뿐 아니라 여러 이방 나라까지 전파됨에 따라 사막을 지나며 복음을 전하는 성도들이 생겨났습니다. 한 방울의 물도 귀한 사막에는 온몸을 적실 만큼 충분한 물이 없기 때문에 사막에서 침례 의식을 행해야 할 경우, 어쩔 수 없이 물을 조금 뿌려 약식 침례를 베풀었습니다.
약식 침례는, 사막에서 또는 복음을 듣고 회개한 중호나자의 경우 등 특수한 상황에서만 허용되었습니다. 그러나 120년경 이후부터는 물이 충분한 지역에서조차 침수의 예식을 행하지 않고,물을 몇 방울 뿌리는 약식 예식이 성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지금 많은 교회가 채택하는 세례 의식의 발단입니다.
하나님의 가르침은 세례가 아닌 침례다
성경에는 몸을 물에 담그거나 적셔서 행하는 침례 예식이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고, 예수님과 사도들도 침례식을 행했습니다. 이는 우리의 구원을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친히 본보여주시고,사도들이 지킨 규례입니다. 사람의 마음은, 하나를 어기면 둘을 어기게 되고 둘을 어기면 셋을 어기기 쉽습니다. 하나님의 규례도 작은 것 하나를 어기면 큰 것을 어기게 되고, 점점 죄를 짓는 데 대담해집니다. 결국에는 하나님 앞에서까지 뻔뻔해져 자신의 고집을 내세우며 하나님의 계명을 제멋대로 해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마치 하나님의 뜻인 양 착각하게 됩니다. 인간적인 편의나 보편성을 내세워 하나님의 말씀과 규례를 하나라도 여겨서는 안됩니다. 진실한 마음으로 천국을 소망한다면,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순종하고 귀하게 여겨야 합니다. 사람의 눈에 아무리 작고,중요해 보이지 않는 일이라도요.
침례는 하나님을 믿고자 하는 성도라면 누구나 거쳐야 하는 신앙의 첫 관문입니다. 그런데 한글 개역성경에서는 침례라는 단어가 아닌 세례라는 단어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간혹 난하주에 "침례"라고 따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침례보다 세례를 더 많이 알고 있고 기독교와 관계없는 일에도 세례라는 단어가 종종 등장합니다. 폭탄 세례, 선물 세례, 총알 세례 등등... 침례는 "담글 침"자를 써서 물에 푹 잠기거나 온 몸을 적시는 예식이지만 세례를 "뿌릴 세"자를 써서 물을 한 두방울 뿌리는 예식입니다. 그렇다면 신앙의 첫관문이 되는 침례 혹은 세례 중에 어느 것이 성경의 뜻에 합당한 예식일까요?
단어의 의미
침례 혹은 세례에 해당하는 헬라어 밥티스마(baptisma)는 잠기다, 적시다라는 의미가 있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영어에서도 이 단어에 대해 번역하지 않고 음역하여 뱁티즘(baptism)이라는 단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번역하였기 때문에 세례로 번역한 것이지만 헬라어 원뜻을 고려하여 번역한다면 침례가 맞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독교 관련 영화를 보아도 예수님이 침례받으시는 장면이나 초대교회의 침례식 장면이 강이나 바다에서 행해지는 이유가 침례라는 단어 자체가 알려주듯 침수하는 의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이 풍부한 곳이 아닐 때는 온몸을 물로 적시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침례의 의미
침례는 예수님께서 무덤에 장사되셨다가 부활하신 것처럼 우리도 우리 죄를 물 속에 장사하고 새 생명으로 부활하는 의미가 담긴 예식입니다. 죽은 사람을 장례 지낼 때도 흙은 두어 삽 덮는 것으로 장례를 끝내지 않듯이 죄를 장례지내는 의식에도 몇 방울의 물을 뿌리는 것으로는 장례가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반드시 온몸을 물속에 담그든지 온몸을 물로 적셔야 죄의 몸에 대한 온전한 장례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로마서 6:3~4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침례(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침례(세례)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뇨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침례(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니라. 따라서 침례의 의미를 생각한다면 물에 온몸을 적시거나 물에 담그는 침례가 물을 몇 방울 뿌리는 세례보다 더 성경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세례의 기원
지금의 여러교회가 행하는 세례 의식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초기 기독교가 유대 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이방지역에까지 전파됨에 따라 사막을 지나 타국과 무역을 하는 성도들도 생겨나게 되었는데 사막을 여행하는 동안 복음을 듣고 침례를 받아야 할 경우 혹은 복음을 듣고 회개한 중환자의 경우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한 모금의 물도 귀중한 사막에서 온몸을 적실만한 물이 충분치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물을 조금 뿌려 약식 침례를 베풀었던 것이 세례의식의 시초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이러한 불가피한 상황에서만 약식 침례가 허용되었으나 주후 120년 경 이후에는 물이 충분한 지역에서조차 침수의 예식을하지 않고 물을 몇 방울 뿌려 약식으로 대신하는 의롭지 못한 방법이 행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지금 많은 교회가 채택하는 세례의식은 이러한 연유로 생겨난 것입니다. 성경에는 분명히 침수(물에 온몸을 적시거나 담금)하여 예식을 행하는 침례식이 기록되어 있고 예수님과 사도들도 침례식을 행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적인 편의나 보편성을 내세워 성경의 가르침을 외면해서는 구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누가복음 16:10 지극히 작은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것에도 불의하니라 하나님의교회는 성경에 기록된 말씀 그대로 침례식을 행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행하는 하나님의교회로 오셔서 죄사함의 축복 받으시기 바랍니다.
침례교의 특성
1)성경66권을 신앙과 생활의 최고 권위로 삼는다.
2)구원은 은혜를 통해 믿음으로 얻는다.
3)모든 신자는 영적 제사장임을 믿는다.
4)우주적 교회와 지역교회를 주장한다.
5)신약교회는 회중정치체제였다고 믿는다.
6)신약교회 의식은 침례와 주의 만찬뿐이다.
7)신약교회의 직분은 목사와 집사뿐이다.
8)모든신자는 선교와 은사적 봉사자’
9)청지기로서의 삶
10)교회와 국가의 분리